녹색교통시스템연구센터 (Green Transportation Research Center)
연구 방향
현 교통시스템 전반에 대한 이해 및 분석을 통해 미래 교통 기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새롭게 개발된 기술들 (예: 초고속철도, 미래항공기술, 전기차 등)을 현 시스템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용한 미래 교통시스템을 개발함.세부연구분야
교통운영
다양한 교통시스템(사진출처 : 상좌-네이버백과사전, 상우-서울시, 하좌-위키피디아, 하우-인천공항공사
ITS의 예 :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사진출처 : BMW)
교통계획 및 정책
- 복합적인 사회의 요구사항들을 반영하여, 교통 시설들의 위치선정, 타당성 평가 등 사회에 필요한 Infrastructure를 개발함.
- 교통시스템은 운영 및 계획에 필요한 법률, 정책 그리고 지침을 연구함.
교통계획 및 정책과정
녹색 교통 및 물류 운영관리
물류자동화 (Logistics Automation) / (사진출처 : 좌-위키피디아, 우-cognex.com)
연구성과의 기대효과
- 기술적 기대효과
다학제적 접근으로 새로운 융합기술 확보
미래녹색교통기술의 보다 원활한 시스템 도입
IT 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통운영 기술 시장 창출
-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외부요인 (Externalities)인 정체, 교통사고, 오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손실 감소
효율적인 교통/물류 시스템 운영 및 정책으로 에너지 소비 감소
교통/물류의 효율화로 타 산업의 경제적 부가가치 증대
새로운 교통 기술, 건설 및 운영 등 융·복합 연구를 통한 미래 교통시스템 구축
- 환경적 기대효과
사회기반시설의 친환경적 운영 및 관리
외부요인 (Externalities)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손실 감소
저탄소, 녹색 운영 시스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