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
  • 학과소식
  • >
  • News & Event

News & Event

우리 대학원 이달의 학생들을 소개합니다.

 

유소영 박사과정 (지도교수 강남우)

유소영_박사과정님.png

 

Q1. 자기 소개 (취미포함)

A. 안녕하세요, 강남우 교수님 연구실 박사 과정 유소영입니다. 저는 현재 스마트 설계 연구실에 속하여 랩장을 맡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사람들 간의 분위기가 특히 좋습니다. 그래서 항상 즐겁고 행복하게 공부 및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제 취미는 여행입니다. 가장 마지막으로 갔던 곳은 욕지도인데요. 해안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드라이브하기 좋았습니다. 바다 풍경이 아름답고 낚시 포인트가 많아서 시간 여유가 되면 또 가고 싶네요!

 

Q2. 본인 연구 소개

A. 저는 인공지능이 스스로 공학성능/심미성/경제성을 만족시키는 설계를 해내도록 인공지능과 공학설계기술(CAD/CAM/CAE, HCI 등)을 융합한 "인공지능 기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연구를 주로 해왔습니다. 최근에는 저희 도메인에 다양한 딥러닝 방법론을 적용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Domain Adaptation”, “Physics Guided Neural Network”, “Graph Neural Network”, “Neural Rendering” 방법론을 저희의 문제에 맞춰 적용해 보고 있습니다.

 

Q3. 본인 연구실 소개

A. 스마트설계연구실(https://www.smartdesignlab.org/)은 인공지능 기반의 공학설계 문제를 다룹니다. 물리 기반의 역학과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결합하여 가상 제품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품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혁신적으로 절감시키고,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설계를 가능하도록 합니다. 진행중인 주요 연구 주제는 Product Design(설계생성, 설계평가, 설계추천)과 Service Design으로 나눌 수 있고, 주로 모빌리티, 전자제품, 플랜트 등 다양한 제조분야 설계 Application을 다룹니다.

 

Q4. 연구 성과 (논문, 특허 등) 또는 진행중

A. 저는 현대자동차 및 LG 전자 등 다수 산학 프로젝트 PM 및 참여 연구원으로써 성과와 개인 연구 성과로 해외저널에 4건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1건이 리뷰 중이며, 3건을 작성 중에 있습니다. 이외 국내외 학회 발표 12건을 하였고, 연구와 관련해서 2건의 특허 출원을 진행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제출한 저널의 리뷰 결과로 revision 결정이 나와서 rebuttal letter을 작성하고 있는데요, 좋은 결과로 이어졌으면 좋겠습니다!

[SCIE급 해외저널 제출 논문]

  • Yoo, S., Lee, S., Kim, S., Kim, E, Hwangbo, H., and Kang, N.* “A Study on Anxiety about Using Robo-taxis: HMI Design for Anxiety Factor Analysis and Anxiety Relief Based on Field Tes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under review)
  • Jang, S., Yoo, S., and Kang, N.* (2022) “Generative Design by Reinforcement Learning: Enhancing the Diversity of Topology Optimization Designs", Computer-Aided Design (Accept)
  • Lee, S., Yoo, S., Kim, S., Kim, E, and Kang, N.* (2021) “Effect of Robo-taxi User Experience on User Acceptance: Field Test Data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ccept)
  • Yoo, S. and Kang, N.* (2021)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Manufacturing Cost Estimation and Machining Feature Visualization",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Accept)
  • Yoo, S., Lee, S., Kim, S., Hwang, K. H, Park, J. H., Kang, N.* (2021) “Integrating Deep Learning into CAD/CAE System: Generative Design and Evaluation of 3D Conceptual Wheel",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 (Accept)

 

Q5. 기억에 남는 학회나 발표 소개 or 학회 후기.

A. 작년 2021 서울 모빌리티 쇼 포스터 세션에 연구실 대표로 참석한 적이 있는데요. 메타버스 속에서 사람들을 만나 발표하고 교류할 수 있어 굉장히 신선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학회는 연구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상황이 좋아져서 해외 및 국내 학회에 오프라인으로도 활발히 참석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Q6.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에 입학한 이유.

A. 저는 모빌리티의 설계 분야에 AI을 융합한 연구를 계속해서 이끌어 나가 미래에는 기술 이전이나 기술 창업을 하는 것에 대한 꿈이 있어 대학원에 진학하였습니다. 박사과정 동안 기존의 방식과 정반대에 있는 기술까지 찾아 매칭하고, 구현하는 능력을 함양시키고 졸업시에는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문제를 정의하고 기획을 추진하는 능력을 갖추고 싶습니다.

 

Q7. 대학원 다니면서 스트레스 푸는 방법.

A.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달리기와 걷기입니다. 특별한 장비 없이 할 수 있고 언제든지 할 수 있어 특히 좋아합니다. 보통은 저녁 시간쯤 박사과정 친구와 함께 캠퍼스 또는 갑천변 길을 따라 한 시간 반 정도 걷거나 뛰면서 오늘 있었던 얘기를 공유하고 동시에 스트레스를 풀곤 합니다.

 

Q8.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상황(ex. 연구, 연구실 생활 등)이 있는지.

A. 연구실 전원이 함께 여행을 간 것이 COVID19 이전 제주도 학회 때가 마지막입니다. 함께 큰 숙소에 모여 발표연습도 돌아가면서 하고 제주 향토 음식을 먹으면서 보드게임도 하고 시간을 함께 보낸 것이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이후로는 다같이 학회를 가기도 어렵고 회식도 편히 할 수가 없어져서 많이 아쉬움이 남는데요. 올해는 꼭 상황이 좋아져서 연구실 사람들과 함께 많은 추억을 쌓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Mishra Sumit 석사과정 (지도교수 하동수)

Mishra Sumit_MS.jpg

 

Q1. Self-introduction (including hobbies)

A. I am Sumit Mishra. After four years of entrepreneurship and research consultancy journey in India, with the real-world deployment of various ITS projects, now I am an M.S. candidate at KAIST. Here I am affiliated with VIL Lab. During my leisure time, I prefer to watch Netflix and chat with friends. Also, I adore the campus's serene beauty and like to walk around the campus daily in the evening.    

 

Q2. Introduce your research

A. I research in the Smart-City domain to facilitate complex real-world problems. Where, I strive to use my skills and ideas for system modeling, designing, and analysis. Till now I have worked on common problems like adaptive traffic light signaling, smart route modeling for micro-mobility modes to avoid COVID hot-spots, IoT network security, low-cost visibility measurement, Vehicular pollution, and traffic congestion live tracking. Further, I am working with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 for accident prevention. The fundamental tools common to most of my research are machine and deep learning. My full research portfolio and papers can be seen at https://sumitmishra209.wixsite.com/mysite

 

Q3. Reasons for Cho Chun-shik Graduate School admission of Green Transportation

A. KAIST is one of the best universities with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vibrant variety of courses offered by world-class professors helps to bolster the weak part of our technical profile. Most of the faculty, such as my advisor Prof. Dongsoo Har, has ample industrial and academic teaching experience. Also, alongside industrial research projects, most of the faculties are editing top journals like IEEE sensors, transactions, etc. The student-to-teacher ratio of KAIST is less and allows professors to handle the guiding students effectively. Personally, Prof. Har reviewed and revised my manuscript multiple times which took around two weeks for him. Further, full funding by KAIST as well as the lab was one of the prime driving factors for me to join Cho Chun-shik Graduate School of Green Transportation.

 

Q4. How is your lab life

A. My lab and advisor approach is result-oriented. My advisor, Prof. Dongsoo Har, allows freedom for my working style with the consistent watch on methodology by Biweekly reports. The labmates are friendly and open to discussion for new ideas. Prof. Har allowed me to choose my research direction and give free hand to do bold research with an untraditional approach. He agreed with me that often bold research leads to amazing results.

 

Q5. Research results (paper, patent, etc.) or in progress

A. In total, I have 10 papers (5 journals and 5 conferences) published and 4 papers (2 journals and 2 conferences) under review. Before joining KAIST, I had 3 journal papers and 4 conference papers. Afterward, I published 2 more journal papers, one in Transportation Letters and another one in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These journal papers, although I was working on them well before, however, my lab and professor allowed me to collaborate and complete the revisions of the manuscript.

 

With my advising professor, I published a conference paper for RiTA 2021. Further two of my papers are under review in which I collaborated with my advising professor and labmates, one is a journal paper in IEEE transactions on ITS and another is a conference paper in ICIP 2022. Also, with my course-peers, two of my papers are under review, one is in the Transport Policy journal and another is in IEE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2022. In addition to papers, I did two successful project deployments in consortium with industries along with one Indian patent pending.

 

Q6. Introduce your memorable conference, presentation

A. The memorable presentation was in RiTA 2021, held in Daejeon, KAIST campus, itself. I got the chance to present my paper with professors and researchers from Germany, Korea, and the USA. Even though the Covid restrictions were in place but the streamlined handling by KAIST organizing committee made the event successful.

 

Q7. What do you remember from your experience at Cho Chun-shik Graduate School of Green Transportation?

A. The get-together lunch with members from different labs, and freebees like department name-tagged clothes are absolutely the memory, I adhere most. Before exams usually department arranges treats, also seasonal fruit party giveaways from time to time as a sign of showing encouragement to students. The supportive feeling that the department shows towards the students is outstanding.

 

Q8. How to relieve stress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A. Although I have not tried but KAIST do arrange for stress relief session with a professional psychotherapist. Further, the straightaway method is to consult the advising professor, which I did. Thankfully, my advisor assisted me by cutting down some workload and extending the deadlin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 [이달의 대학원생 - 23년 1월] 강민석 박사과정 (지도교수 장인권), 권용민 석사과정 (지도교수 강남우) file 관리자 2023.02.02 150
113 [이달의 대학원생 - 22년 11월] 송지호 석사과정 (지도교수 박기범), Praveen Kumar Rajendran 석사과정 (지도교수 하동수) file 관리자 2022.11.30 192
112 강남우 교수 연구실 K-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대상' 수상 file 관리자 2022.10.25 453
111 [이달의 대학원생 - 22년 9월] 허성렬 박사과정 (지도교수 안승영), 오승민 석사과정 (지도교수 이진우) file 관리자 2022.10.04 229
110 2022년 가을학기 개강행사 개최 file 관리자 2022.09.19 177
109 [이달의 대학원생 - 22년 7월] 조상재 박사과정 (지도교수 공승현), 김재환 박사과정 (지도교수 장기태) file 관리자 2022.08.03 258
108 강남우 교수 대한기계학회 CAE 및 응용역학 부문 젊은 연구자상 수상 file 관리자 2022.06.09 473
107 [이달의 대학원생 - 22년 5월] 김산민 박사과정 (지도교수 금동석), 김성용 석사과정 (장인권 교수님 연구실) file 관리자 2022.06.06 300
» [이달의 대학원생 - 22년 3월] 유소영 박사과정 (지도교수 강남우), Mishra Sumit 석사과정 (지도교수 하동수) file 관리자 2022.03.30 675
105 [이달의 대학원생 - 22년 1월] 박범진 박사과정(지도교수 안승영), Xinliang Yang 석사과정 (지도교수 박기범) file 관리자 2022.01.26 1147
104 강남우 교수 연구실 KAIST E*5 Lab Startup 1위 수상 file 관리자 2021.12.03 1026
103 [이달의 대학원생 - 21년 11월] 한재훈 석사과정(지도교수 이진우), Hui Zhi Ng 석사과정(지도교수 장기태) file 관리자 2021.11.25 3077
102 [2021 봄 학생 시상식] 박범진, 김태영, 박찬준, 이성진 학생 수상 file 관리자 2021.09.17 306
101 장기태 교수, 김수완 연구원 전기차 산업 육성 관련 제주도지사 표창 수상 file 관리자 2020.04.12 542
100 대학원 설립 기부자 윤창기 여사 가족 및 김병호 회장 부부 방문 file 관리자 2020.04.07 566
99 최고의 미래차 선정하는 '제2회 올해의 퓨처 모빌리티 대상' 시상 file 관리자 2020.04.07 361
98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Future Mobility 개최 file 관리자 2020.04.07 266
97 이기범 박사, 한라대 교수 임용 및 한국공학한림원 차세대공학리더상 우수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4.07 1533
96 대외활동 소개 - KOMSA와의 업무협약 외 file 관리자 2020.04.07 274
95 녹색교통대학원 만남의 날 개최 file 관리자 2020.04.07 10890